‘Internet Meme’, 줄여서 ‘Meme(밈)’이라고 부른다.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특정한 문화 요소와 컨텐츠를 이르는 말이다. 인터넷 밈(internet meme)이란, 대개 모방의 형태로, 인터넷을 통해, 사람에서 사람 사이에 전파되는 어떤 생각, 스타일, 행동 따위를 말한다.
1976년 리처드 도킨스가 저서 ‘이기적 유전자’에서 처음 제시한 학술 용어 밈(meme)에서 파생된 개념이다. 본래 밈은 마치 인간의 유전자(gene)와 같이 ‘자기복제적 특징을 갖고, 번식해 대를 이어 전해져오는 종교나 사상, 이념 같은 정신적 사유’를 의미했다.
이것이 ‘패러디되고 변조되며 퍼지는 작품 속 문화 요소’라는 의미로 확대된 것은 9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초반으로, 인터넷이 보급된 뒤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새로운 방식의 문화 전파 현상을 도킨스의 용어를 빌려 표현한 것이다.
인터넷 밈은 그림, 하이퍼링크, 동영상, 사진, 웹사이트, 해시태그, 몸짓 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오탈자가 포함된 단어나 문장 따위의 간단한 것도 밈이 될 수 있다. 만들어진 밈은 소셜 네트워크, 블로그, 이메일, 뉴스 등을 통해 사람과 사람 사이에 퍼져나간다.
특히 영미권 커뮤니티에서 채팅이나 UCC 활동을 할 때 쓰이는 필수요소를 밈이라 일컫게 되면서 네티즌 사이에서 널리 쓰이게 되었다. 밈을 제작하거나 유포하는 사람을 ‘미머'(Memer)라고 하기도 한다.
이에 대응되는 한국어 표현으로는 필수요소(必須要素), 혹은 짤방, 짤이 있다. 다만 동영상이나 사회 현상 등을 통틀어 일컬을 수 있는 밈과는 다르게 한국 짤방은 단순히 재미있는 사진이나 GIF 파일만을 통칭하며, 인터넷 밈과 일맥상통한 의미를 띄진 않는다.
© CHA University – 상업적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