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시: 2025. 11. 6.(목)~8.(토)
- 연수 장소: 홍콩대학교 의과대학 방문 및 문화탐방
이번 홍콩대학교(University of Hong Kong) 연수는 특수대학원 과정 특성 상 동기들과 깊게 교류하기 어려웠던 제게 의미 있는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그동안 시간을 맞추기 어려워 보기 힘들던 동기들과 2박 3일 동안 함께 생활하며 자연스럽게 대화를 나누고, 서로의 진로와 업계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필라테스, SNPE, 피트니스, 선수트레이닝, 헬스, 병원 및 클리닉 등 각자의 현장은 다르지만, 결국 ‘움직임과 건강’이라는 큰 틀 안에서 연결된 분야라는 점을 다시 한 번 느끼며 시야가 넓어졌습니다.

첫째 날 방문한 홍콩대학교에서는 김영원 교수님께서 직접 세미나를 열어주셨습니다. 교수님은 대규모 데이터와 첨단 분석 방법론을 활용하여 신체활동이 건강과 질병 위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 계셨습니다. 특히 Compositional Data Analysis(CODA)와 Isotemporal Substitution Model을 기반으로, 하루 24시간 중 좌식·수면·저강도·중고강도 활동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방식, 그리고 ‘좌식 30분을 중·고강도 신체활동(MVPA)로 치환할 때 건강 지표가 얼마나 개선되는지’에 대한 설명이 인상 깊었습니다. 이러한 연구 접근 방식은 실험실 상황이 아닌 실제 생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질병 위험을 예측할 수 있어, 신체활동 역학 분야의 깊이를 실감할 수 있는 경험이었습니다.

저는 그동안 실무 중심의 관점에서 트레이닝 방법론, Manual Therapy, Pain Science 등을 공부해왔습니다. 그러나 이번 세미나를 통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연구 방법론을 접하며 사고가 훨씬 확장되었습니다. 특히 ‘좌식 30분을 덜 하고 MVPA를 30분 늘리는 것만으로도 의미 있는 건강 변화가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는 제가 매일 마주하는 회원들의 생활 패턴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제가 일하고 있는 판교 지역 특성상 프로그래머, 기획자, 직장인 등 장시간 좌식 생활을 하는 회원들이 많습니다. 김영원 교수님의 연구 내용은 이러한 회원들에게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운동을 설계하고 설명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침이 되어주었습니다.



홍콩대학교 캠퍼스는 바다와 도시 풍경이 함께 보이는 아름다운 환경이었으며, 연구실에서는 직접 장비를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데이터 기반 연구가 어떻게 이뤄지는지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번 방문을 통해 연구가 단순히 학문적 영역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실제 임상·현장에서의 문제 해결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을 실감하였습니다. 나아가 향후 제 연구 주제 역시 웨어러블 기반 데이터 분석으로 확장하고자 하는 목표도 새롭게 생겼습니다. 앞으로 김영원 교수님의 논문들을 찾아 읽으며 CODA 분석, MVPA 치환 모델 등 새로운 방법론을 더 깊이 익히고자 합니다.

이번 연수는 여러 사람들의 도움 덕분에 이루어졌습니다. 바쁜 일정 속에서도 시간을 내어 직접 홍콩대학교까지 와주신 홍정기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또한, 모든 일정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세심하게 챙겨주신 김장광 대리님께도 감사드립니다. 무엇보다 대학원 진학 후 좋은 교수님들께 지도받고 있다는 사실이 이번 연수를 통해 더욱 크게 느껴졌습니다. 앞으로도 배운 내용을 현장과 연구 모두에 적용하며, 더욱 근거 기반적이고 전문적인 트레이너로 성장해 나가고자 합니다.

[작성 : 차 의과학대학교 스포츠의학대학원 임상운동 전공 9기 이지선 원생]
© CHA University – 상업적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한 주 한 편, 영화 추천] 더 기버 : 기억전달자 인간의 감정, 기억, 자유의지에 대하여](https://newsroom.cha.ac.kr/wp-content/uploads/2022/10/1920x1200-218x150.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