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의과학대학교 스포츠의학대학원 및 일반대학원 의학과 양우휘(부원장, 공동 PI) 교수 연구팀(공동연구자 분당차병원 신경과 김현숙 교수)이 주관기관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과 박용두 교수(주관 PI) 연구팀과 함께 공동연구기관으로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헬스미래추진단이 추진하는 “2025년도 제2차 한국형 ARPA-H 프로젝트(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for Health)”에 최종 선정되었다.
이번에 선정이 진행된 한국형 ARPA-H 프로젝트는 ‘극초고령사회에서의 노쇠에 대한 AI 기반 예방적 돌봄 서비스 개발(프로젝트명 DEF-H, 총 정부연구비 175억원, 담당 PM 이승규)’로, 연구팀은 “Frailty Zero: 대사능 기반 노쇠평가/예측을 위한 위상분석형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및 FZ(Frailty Zero)케어 서비스 사업화” 과제를 제안하였다.
* DEF-H : Defense-Enhanced Personalized AI Care Service for Frailty Prevention in a Hyper-Aged Society
본 과제는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과가 주관하며, 고려대의료원, 차 의과학대학교, NHN, 론픽, 뉴마핏등 6개 기관이 공동 연구개발기관으로 참여한다.
본 과제의 과제 기간은 2025년 7월부터 2029년 12월까지이며, 연구팀에게는 최대 127.5억원의 정부연구개발비(민간자금 부담금 포함 시 151억원 규모)가 투입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연구과제는 기존의 심폐기능, 근력, 인지기능 중심의 노쇠 진단을 넘어 대사능을 포함한 통합 분석을 통해, 기존 바이오마커로는 해석이 어려운 노쇠의 정량적 수준을 판별할 수 있는 메타 바이오마커를 개발 및 검증하는 것이다. 또한, 오믹스, 의료영상, 전자의무기록, 생체신호, 라이프로그, 인체동역학 등으로 구성된 멀티모달 헬스 데이터셋을 활용해 위상수학 기반의 노쇠 특화 멀티모달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데이터 간 구조와 인과관계를 학습하여 설명 가능한 AI 의료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공동연구기관 연구책임자를 맡은 양우휘 교수는 그동안 꾸준히 연구한 인간의 에너지 대사능 분석이 본 연구 과제에서 “그동안 해결되지 않았던 예측 가능한 노쇠의 정량적 수준을 해소하는 데 핵심적인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초 고령화 사회 진입에 있어 공공 민간 병렬 운영 모델의 완성, 임상적 완성도 확보 및 AI 의료 시스템 제도화를 위한 기반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제공 : 차 의과학대학교 스포츠의학대학원]
© CHA University – 상업적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